본문 바로가기
경제

직장인 퇴직금 가장 많은 달은?? (지급 기준, 계산방법, 지급 기한) 완벽 정리!!

by 취미가생긴여자 2022. 4. 1.
퇴직금 지급 기준

퇴직금은 1년 이상 계속 근로를 하고 4주 동안 평균 주 15시간 이상 근무 요건을 충족하면

누구나 받을 수 있습니다.

 

퇴직금은 어떻게 계산할까요?
 ★ 퇴직금 계산법  

 -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월 60시간 이상 일한 근로자의 근로기간이 1년 이상인 경우.

 ★  퇴직금  

 - 1일 평균 임금 X 30일 X (재직 일수 / 365)

 ★  1일 평균 임금 ★ 
 
 - (퇴직 전 3개월 임금 총액) / 3개월간 근무 일수

 ※ 유의 사항 ※

 - 퇴직일 = 마지막으로 근무한 날의 다음달
 (ex. 4월 30일까지 근무했다면 퇴직일은 5월 1일)

 

퇴직금 지급 기한

사용자는 근로자가 퇴직한 경우에는 그 지급 사유가 발생한 날(퇴직일)부터 14일 이내

퇴직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만약 사용자가 14일 이내 퇴직금을 지급하지 않는다면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을 내야 합니다.

 

또한 14일 이내에 퇴직 급여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지급하지 않는 경우 그다음 날부터 지급하는

날까지의 지연일 수에 대하여 연 20%의 지연 이자를 지급해야 합니다.

 

퇴직금이 가장 많은 달은 언제일까요?

 ★ 퇴직금(1일 평균 임금) 계산법 ★

- 마지막 근로일을 포함한 3개월 간의 평균 임금.
 월 별 근무 일수
1월
(31일)
2월
(28일)
3월
(31일)
4월
(30일)
5월
(31일)
6월
(30일)
7월
(31일)
8월
(31일)
9월
(30일)
10월
(31일)
11월
(30일)
12월
(31일)
 ★ 4월에 퇴사하게 될 경우 ★

12달 중 가장 근무일수가 적은 2월을 포함시켜 1일 평균 임금이 올라감.

※ 반대로 31일까지 있는 7 ~ 8월을 포함해 9월 중 퇴직할 경우 퇴직금이 제일 적음!
2월 근무 일수

28일
 
   +  
3월 근무 일수

31일
 
  +
4월 근무 일수

30일

  =
3개월 근무 일수

89일

 

ex. 3개월 근무 일수가 91일, 90일, 89일인 경우 퇴직금 차이. (3개월간 지급된 임금 총액 900만 원)
 1일 평균 임금
 91일   98,901원
 90일  100,000원
 89일  101,123원

* 4월에 퇴사해야 1일 평균 임금이 가장 높기 때문에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4월에 퇴사하는 것이

퇴직금을 조금 더 많이 받을 수 있습니다.

 

알아두면 좋은 제도 ' 임의 계속 가입자 제도'

퇴사 후 '직장 가입자'에서 '지역 가입자'로 바뀌어 건강보험료가 올라간 분들을 위한 제도입니다.

 

지원 내용 : '임의 계속 가입자' 신청을 통해 직장 가입자 자격 유지 가능(최대 36개월 지원)
지원 대상 : 퇴사 후 지역 가입자로 전환된 후 첫 고지서에 적힌 납부 기간을 기준으로 2달이 지나지 않은 사람.
신청 방법 : 관련 서류를 지참해 본인 거주 지역 건강보험공단 지사 방문, 신청.

 

댓글